호우

  • 지역의 대피 장소(행정복지센터, 학교 등)와 안전한 이동 방법,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, 어린이들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.
    ※대피경로는 하천변, 산길,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, 침수된 지역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.
  •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.
  •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, 산사태 위험지역 등의 위험한 곳은 피하고,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.
  • 개울가, 하천변,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.
  •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,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.
  • 공사 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.
  •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.
  • 주변의 배수로,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하며 비가 새거나 막힌 곳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
  • 비탈면, 옹벽, 축대 등에 균열이 있는지 점검하고,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ㆍ군ㆍ구청에 신고합니다.
  • 전기와 가스, 수도 등이 멈추는 경우를 대비하여 최소 3일간 버틸 수 있는 식량ㆍ식수ㆍ생필품 등을 미리 비축해둡니다.
  • 응급약품, 손전등, 식수, 비상식량, 라디오, 핸드폰 충전기, 휴대용 버너,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.
  •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,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.
  •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으며, TV, 라디오,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확인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