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재
- 자고 있을 때 화재경보가 울리면 불이 났는지 확인하기보다는 소리를 질러 주변 사람에게 알립니다.
- 손등으로 출입문 손잡이를 만져보아 손잡이가 따뜻하거나 뜨거우면 문 반대쪽에 불이 난 것이므로 문을 열지 않습니다.
- 연기가 들어오는 방향과 출입문 손잡이 온도에 따라 계단으로 나갈지 창문으로 구조를 요청할지 결정합니다.
- 대피할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통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합니다.
- 대피가 어려운 경우에는 창문으로 구조요청을 하거나 대피공간 또는 경량칸막이를 이용하여 대피합니다.
- 안전하게 대피한 후 119에 신고합니다.
- 휴대폰이 있어서 신고가 가능하다면 속히 해주시고 신고하느라 대피시간을 놓치지 않도록 합니다.
- 놀이터 등 사전에 약속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 후 인원을 확인합니다.
- 주변에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출동한 소방관에게 알려줍니다.
- 불이 난 것을 발견하면 "불이야!"라고 소리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주변에 알리도록 합니다.
- 불길이 커져서 대피해야 할 경우 젖은 수건 또는 담요를 활용하여 계단을 통해 밖으로 대피합니다.
- 세대 밖으로 대피가 어려운 경우 경량칸막이를 이용하여 이웃집으로 대피하거나 완강기를 이용하여 창문으로 나가는 방법, 실내대피 공간으로 대피하였다가 불이 꺼진 후 나오는 방법 등을 활용합니다.
-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으며, TV, 라디오,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확인합니다.
소화기 사용법
실내에서 사용할 때에는 밖으로 대피할 때를 대비하여 문을 등지고
- 소화기를 가져와서 몸통을 단단히 잡고 안전핀을 뽑습니다.
-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해 가까이 이동합니다.
- 손잡이를 꽉 움켜쥡니다.
- 분말이 골고루 불을 덮을 수 있도록 쏩니다.
2인 1조일 경우
- 2명 중 1명이 먼저 소화전함의 문을 열고 호스와 노즐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- 호스를 밖으로 꼬이지 않도록 불이 난 곳까지 길게 늘어뜨린 후 노즐(관창)을 잡고 방수자세를 취합니다.
- 다른 한사람이 밸브를 돌려 물이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 뛰어가서 호스를 잡는 것을 도와줍니다.
- 노즐의 끝을 돌려 물의 양을 조절해가며 불을 끕니다.
옷에 불이 붙었을 때
얼굴 화상방지와 연기가 폐로 들어가지 않도록
- 옷에 불이 붙었을 때는 하던 일을 멈추고
- 얼굴(눈, 코, 입)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두 손으로 감싸도록 합니다.
- 바닥에 엎드린 후
- 몸을 뒹굴어서 불이 꺼지도록 합니다.
공동주택 화재 발생 시
대피가 가능한 경우
- 화재 사실을 집에 있는 사람에게 알립니다.
-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,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합니다.
- 대피 시 출입문은 반드시 닫고,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습니다.
- 비상벨을 누르고 119에 신고합니다.
현관 입구 등의 화재로 대피가 어려운 경우
- 화재 사실을 집에 있는 사람에게 알립니다.
- 대피공간, 경량칸막이, 하향식피난구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대피합니다.
- 대피공간 등이 없는 경우, 화염ㆍ연기로부터 멀리 이동해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틈새를 막습니다.
- 119로 현재 위치와 상황을 알리고 구조를 요청합니다.
자기 집으로 화염ㆍ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
- 화재 사실을 집에 있는 사람에게 알립니다.
-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합니다.
-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창문을 닫습니다.
- 119로 신고하고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합니다.
자기 집으로 화염ㆍ연기가 들어오는 경우
- 화재 사실을 집에 있는 사람에게 알립니다.
- 복도, 계단에 화염ㆍ연기가 없어 대피가 가능한 경우
※ 계단을 이용하여 낮은 자세로 지상층,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합니다.
※ 대피 시 출입문은 반드시 닫고, 엘리베이터를 타지 않습니다.
- 복도, 계단에 화염ㆍ연기가 있어 대피가 어려운 경우
대피공간, 경량칸막이, 하향식피난구 등이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대피한다.
※ 대피공간 등이 없는 경우 화염 또는 연기로부터 멀리 이동하여,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틈새를 막는다.
※ 119에 현재 위치, 상황을 알리고 구조를 요청한다.